{ "data": { "351": { "smid": "351", "cltur_exmn": "봄,가을 성인에 대한 봉사", "obj_id": "216",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시무나무, 느티나무", "tra_vllg": "말마리 마을숲", "matrl_nmpl":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1리", "main_frtp": "혼효림", "hstr_mnnmb": "131.0", "zone_area": "0.434" }, "230": { "smid": "230", "cltur_exmn": "", "obj_id": "275",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신영리 394-1",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46.0", "zone_area": "0.0" }, "231": { "smid": "231", "cltur_exmn": "", "obj_id": "276",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월가리 576-1",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50.0", "zone_area": "0.172" }, "310": { "smid": "310", "cltur_exmn": "성당초등학교 앞의 소나무 숲은 송림공원(松林公園) 이라고 불리고, 소나무의 웅장함과 빼어난 수형이 일품이다. 이 소나무 숲은 학교 설립당시 도로변에 소나무를 존치하여 지금까지 가꾸고 이다. 또 1995년 이 곳에 졸업생으로 구성된 \u2018송림회\u2019에서 소나무 숲을 공원화", "obj_id": "301", "histr_exmn": "이배산은 당진읍 사기소리, 구룡리와 면천면 사기소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산등성이가 터져 이무기의 등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으로 높이 243m로 산정상의 용지봉은 판판한 평지로 가뭄이 들 땐 당진군수가 기우제를 지낸 곳이기도 하다. 현재 성당초등학교는 1941년 성당",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이배산", "matrl_nmpl":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사기소리 산189-4번지", "main_frtp": "소나무림", "hstr_mnnmb": "1166.0", "zone_area": "0.4" }, "311": { "smid": "311", "cltur_exmn": "", "obj_id": "302",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버드나무", "tra_vllg": "유곡리마을숲", "matrl_nmpl":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유곡리 산146-5",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329.0", "zone_area": "1.016" }, "312": { "smid": "312", "cltur_exmn": "직산향교 및 직산초등학교와 접한\n성산 산책로에 위치하여 지역및 인근\n주민들이 다수 이용하고 있음", "obj_id": "303",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군동 소나무숲", "matrl_nmpl": "충청남도 천안시 직산읍 군동리 산9-1",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62.0", "zone_area": "0.05" }, "313": { "smid": "313", "cltur_exmn": "매년 10월 남이흥장군추모제가 충장사에서 열린다. 또한 국궁장, 씨름장, 광장등이 잘 조성되어 있어 관광객의 체험공간 및 마을 주민 잔치 및 단합대회등에 활용되고 있다. 2007년 충장사앞 공지에 충남그린파크조성의 일환으로 어린이 국궁체험장을 조성하여 지역주민의", "obj_id": "304", "histr_exmn": "충장사는 조선 인조때 명장 남이흥장군을 모신 사당으로 1627년 정묘호란때 안주성에서 청나라 군대와 끝까지 싸우다 성안으로 유인하여 화약을 터트려 승화한 장군으로 이에 나라에서는 좌의정으로 봉하고 시호를 충장으로 하사한 유서깊은 곳으로 이곳은 남이흥 충장공이",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충장사", "matrl_nmpl": "충청남도 당진군 대호지면 도이리 충장사 주변", "main_frtp": "소나무림", "hstr_mnnmb": "1169.0", "zone_area": "5.0" }, "314": { "smid": "314", "cltur_exmn": "", "obj_id": "305", "histr_exmn": "오랑캐의 침입이 잦았던 어느시대 젊은 청년이 망일사에 가서\u2018오랑캐를 물리칠 수 있는 힘을 주소서\u2019하며 날마다 기도해서 부처님이 감명받아 마당에 누워 있던 철마를 깨워서 청년을 돕게 시켰다. 철마의 말대로 쇠도리깨를 만들어 철마를 타고 오랑캐를 무찔렀다고 전해", "smuserid": "0", "main_koftr": "적송,신갈나무", "tra_vllg": "망일사", "matrl_nmpl":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대산리 산146-1", "main_frtp": "혼효림", "hstr_mnnmb": "169.0", "zone_area": "1.5" }, "117": { "smid": "117", "cltur_exmn": "", "obj_id": "35",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자작나무 70, 참나무 15, 밤나무 10, 소나무 5임령 25", "tra_vllg": "초일동 마을숲", "matrl_nmpl": "경기도 하남시 초일동 산2-1",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616.0", "zone_area": "1.195" }, "315": { "smid": "315", "cltur_exmn": "", "obj_id": "306",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적송, 해송, 신갈나무", "tra_vllg": "해월암", "matrl_nmpl":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60-7 삼길산", "main_frtp": "혼효림", "hstr_mnnmb": "168.0", "zone_area": "1.0" }, "118": { "smid": "118", "cltur_exmn": "", "obj_id": "36",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참나무(주상수리)80, 밤나무 10, 소나무5, 잣나무5임0", "tra_vllg": "풍산동 마을숲", "matrl_nmpl": "경기도 하남시 풍산동 산30-5",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618.0", "zone_area": "7.9" }, "317": { "smid": "317", "cltur_exmn": "향교 앞 느티나무 보호수 군락은 마을의 쉼터 역할 및 다양한 문화 행사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향교에서는 유교의 성인과 성현들의 추모와 덕을 기리기 위한 제향을 음력 2월과 8월의 초정일에 올리고 있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충효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obj_id": "308", "histr_exmn": "해미면 오학리에 있는 마을숲은 해미향교를 중심으로 조성되어진 숲이다. 도로에서 향교 경내로 들어가는 길에는 오래된 느티나무 보호수 군락이 있으며, 향교 뒤편으로 송림이 조성되어 있다. 해미향교는 조선 초 각 지방 군현에 향교를 건립하던 1407년(태종 7)에 창건되",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해미향교", "matrl_nmpl":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오학리 산54번지", "main_frtp": "단순림", "hstr_mnnmb": "1176.0", "zone_area": "1.0" }, "98": { "smid": "98", "cltur_exmn": "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내에 위치", "obj_id": "17",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금송", "tra_vllg": "어룡리 금송숲", "matrl_nmpl":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어룡리 353-12",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59.0", "zone_area": "0.061" }, "99": { "smid": "99", "cltur_exmn": "", "obj_id": "18",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잡목", "tra_vllg": "수산1리 마을회관앞 앵산동 마을숲", "matrl_nmpl":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수산리 283",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814.0", "zone_area": "0.075" }, "284": { "smid": "284", "cltur_exmn": "", "obj_id": "264",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공주시 월미동 104-1",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41.0", "zone_area": "0.161" }, "120": { "smid": "120", "cltur_exmn": "", "obj_id": "38",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상수리, 아카시", "tra_vllg": "초원지리 마을숲", "matrl_nmpl":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초원지리 33-8",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604.0", "zone_area": "0.09" }, "285": { "smid": "285", "cltur_exmn": "", "obj_id": "265",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충효사숲", "matrl_nmpl":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호계리 산54",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43.0", "zone_area": "0.011" }, "121": { "smid": "121", "cltur_exmn": "", "obj_id": "39",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상수리, 아카시", "tra_vllg": "석모리 마을숲", "matrl_nmpl": "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석모리 670-2",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605.0", "zone_area": "0.15" }, "286": { "smid": "286", "cltur_exmn": "", "obj_id": "266", "histr_exmn": "버드나무가 있어 동네입구를 막아주었는데 십여년전 나무를 베어낸 후로 동네주민이 죽는 둥 흉사가 끊이지 않아, 다시 소나무를 심고 나서는 흉한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함",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숙거리", "matrl_nmpl":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목천리 291-3",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52.0", "zone_area": "0.065" }, "122": { "smid": "122", "cltur_exmn": "", "obj_id": "40",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고양리 마을숲", "matrl_nmpl":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고양리 산85",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602.0", "zone_area": "0.02" }, "320": { "smid": "320", "cltur_exmn": "아산만 : 삼국유사에 동명왕 주몽의 아들 비류가 고구려에 남아 최초로 도착하여 정착하였던 곳으로 고대는 백제의 멸망을 가져온 나당연합군과의 전투 현장으로서 근대에는 청.일전쟁의 시발로 왜세에 의해 전쟁터가 되는 등 우리 민족의 과거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obj_id": "310", "histr_exmn": "공세리성당은 11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순교성지로써 충청남도 지정문화재 144호로 보호되고 있다. 성당이 위치하고 있는 아산만과 삽교천은 교회 박해시대에 내포지방의 입구로 해상과 육로로 연결되는 중요한 포구였으며, 현재 성당이 위치하고 있는 9,500여 평의 부지",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194-1번지",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183.0", "zone_area": "1.4" }, "287": { "smid": "287", "cltur_exmn": "", "obj_id": "267",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백계암", "matrl_nmpl":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고당리 산18",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42.0", "zone_area": "0.0" }, "123": { "smid": "123", "cltur_exmn": "", "obj_id": "41",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은행나무, 느티나무", "tra_vllg": "석탄리 마을숲", "matrl_nmpl":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석탄리 산48",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600.0", "zone_area": "0.1" }, "288": { "smid": "288", "cltur_exmn": "", "obj_id": "268", "histr_exmn": "덕정부락 동구밖에 병풍처럼 둘러있는 노송과 버드나무는 정확한 년대는 알수 없으나 지금으로부터 약 130여년전에 그 동리에 살던 이해명이란 사람이 덕정부락 지형을 까불려먹는 키형국이라 곡식을 까불면 밖으로 나간다고 하여 방패하기 위하여 나무를 심었다고 전해옴.",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버드나무", "tra_vllg": "덕정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상정리 787번지",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164.0", "zone_area": "0.5" }, "124": { "smid": "124", "cltur_exmn": "", "obj_id": "42",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회화나무", "tra_vllg": "남상골 쉼터", "matrl_nmpl":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고막리 361-1",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603.0", "zone_area": "0.05" }, "289": { "smid": "289", "cltur_exmn": "", "obj_id": "269", "histr_exmn": "한국전쟁 당시 시체를 모아두는 곳이었음",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산제당판덕", "matrl_nmpl":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한천리 산85-8",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53.0", "zone_area": "0.0" }, "201": { "smid": "201", "cltur_exmn": "인근에 풍림정사가 있어 옛고가를 볼수있고, 마을숲은 지역주민의 화합의 장 및 각종행사에 활용되고 있다.", "obj_id": "231", "histr_exmn": "회인면의 남쪽에 위치한다. 사방을 산이 둘러싸고 있으며, 마을 앞 들로 회인천이 흘러나가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자연마을로는 가달피, 늪실(눌곡), 양지말, 오가리, 음지말 등이 있다. 가달피는 구들티가 변한 것으로 영해박씨 선대의 재실과 관리인이 살았으나 현재",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늘곡리 마을숲", "matrl_nmpl": "충북 보은군 회북면 눌곡리 산47번지외 2필", "main_frtp": "활엽수", "hstr_mnnmb": "894.0", "zone_area": "0.2" }, "125": { "smid": "125", "cltur_exmn": "", "obj_id": "43",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가금리 마을숲", "matrl_nmpl":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가금리 59-1", "main_frtp": "혼효림", "hstr_mnnmb": "601.0", "zone_area": "0.1" }, "126": { "smid": "126", "cltur_exmn": "", "obj_id": "44",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상수리", "tra_vllg": "시암리 마을숲", "matrl_nmpl":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시암1리 산40", "main_frtp": "혼효림", "hstr_mnnmb": "599.0", "zone_area": "0.23" }, "127": { "smid": "127", "cltur_exmn": "광탄면 소재지에서 보광사 방면으로 2km 정도에 위치한 마을로 36세대가 거주하며 마을에서 예부터 느티나무를 심고 가꾸어 마을 전체가 느티나무 숲을 이루고 있는 전통마을임", "obj_id": "45", "histr_exmn": "예전에 말을 많이 기르던 마을이라 마장리라 부르며 조선후기 덤불이 많이 우거진 삼태기 모양의 마을에 덤불을 없애려고 느티나무를 많이 심고 가꾸어 울(蔚)리골이라 부르다가 울리동으로 변화되었다함",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울리동숲", "matrl_nmpl":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마장리 418-3",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196.0", "zone_area": "2.067" }, "248": { "smid": "248", "cltur_exmn": "", "obj_id": "280",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고성리 297",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64.0", "zone_area": "0.0" }, "128": { "smid": "128", "cltur_exmn": "국가중요\n민속자료 제128호", "obj_id": "46", "histr_exmn": "1870년대 명성황후\n은신처로 서울집을\n똑같이 옮겨지음", "smuserid": "0", "main_koftr": "혼용림(소나무, 신갈 등)", "tra_vllg": "백수현 전통한옥", "matrl_nmpl": "경기도 양주시 남면 매곡리 383-2", "main_frtp": "혼효림", "hstr_mnnmb": "608.0", "zone_area": "0.274" }, "327": { "smid": "327", "cltur_exmn": "마을 입구에 위치한 숲으로 마을 방문객에게 아름다운 경관 및 휴게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obj_id": "189", "histr_exmn": "회인면의 서북쪽에 있다. 사방을 산이 둘러싸고 있어 골짜기가 많으며, 앞으로는 회인천이 흘러나가는 농촌마을이다. 자연마을로는 웃말, 평지말 등이 있다. 웃말은 신문리 위쪽에 있는 마을이며, 평지말은 웃말 동남쪽 평지에 있는 마을이다. 산문리(살무리)는 본래 회인군",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신문리 동구숲", "matrl_nmpl": "충청북도 보은군 회북면 신문리 5번지", "main_frtp": "활엽수", "hstr_mnnmb": "120.0", "zone_area": "0.05" }, "209": { "smid": "209", "cltur_exmn": "", "obj_id": "272",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좌우촌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 319-2",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202.0", "zone_area": "0.6" }, "290": { "smid": "290", "cltur_exmn": "", "obj_id": "270",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남 공주시 유구읍 백교2리(여러집에 의한 사유)",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875.0", "zone_area": "0.26" }, "291": { "smid": "291", "cltur_exmn": "약 270년전 경주김씨가 구항면 지정리(묵동) 부락에 정착하여 부락앞 동남방에 있는 칠매묶음산의 재앙을 피하기 위하여 느티나무를 식재하고 매년 2월 초하루에 음식을 차려놓고 마을의 평온과 발전을 위하여 수목제를 지냈다고 한다. 이처럼 묵동 마을의 숲은 수 백년 동", "obj_id": "271", "histr_exmn": "묵동마을은 먹적골이라고도 부르는데, 이 마을은 좌우로 나직한 산이 감싸고 있어 타원형이며 마을 한가운데 마을 샘이 있어 흡사 여자의 형국과도 같다. 그런데 묵동에서 광천 쪽을 바라보면 고개가 있는데 이 고개는 대고개라하여 이 고개를 중심으로 이어지는 야트막한",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홍성군 구항면 지정리 897번지",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185.0", "zone_area": "0.7" }, "292": { "smid": "292", "cltur_exmn": "", "obj_id": "285",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문천리",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65.0", "zone_area": "0.0" }, "293": { "smid": "293", "cltur_exmn": "", "obj_id": "286",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굴참",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남 공주시 유구읍 문금2리 적바위숲 (마을 소유)", "main_frtp": "혼효림", "hstr_mnnmb": "874.0", "zone_area": "0.13" }, "294": { "smid": "294", "cltur_exmn": "", "obj_id": "287",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남 공주시 유구읍 문금1리 마을숲1", "main_frtp": "혼효림", "hstr_mnnmb": "873.0", "zone_area": "0.07" }, "295": { "smid": "295", "cltur_exmn": "매년 정월초하루에 장승제를 지내고 있으며 이날만큼은 몸을 깨끗이 하고 정성을 드린다. 시루떡과 간단한 제물을 준비하여 제를 지내고 마지막 소지를 올린다. 장승제와 더불어 산제를 지내는데 대부분 좋은 날을 선정하다보니 같은 날 지내는 때가 많다고 한다.", "obj_id": "288", "histr_exmn": "종곡리는 마을 지형이 북처럼 생겼다해서 종곡 또는 북실로 불리운다. 마을 주변의 산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고 계곡의 경치가 수려하고 물이 깨끗하여 여름이면 계곡을 찾는 사람이 늘고 있다. 또 마을 입구에 서 있는 돌장승과 나무장승은 들어오는 사람들의 마음을 경건",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종곡리 225임, 225-",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181.0", "zone_area": "0.4" }, "296": { "smid": "296", "cltur_exmn": "산림청과 생명의 숲이 공동으로 선발한 보존하여야 할 천년의숲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금북정맥이 지나는 구간으로 봉수산과 봉곡사가 위치하여 많은 사람들이 즐겨찾는 명소이다. 고즈넉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소나무숲은 수령이 100년 이상의 소나무가 자라고 있는 보기 힘", "obj_id": "289", "histr_exmn": "봉곡사 입구의 소나무숲은 '생명의 숲'에서 주관한 '천년의 숲' 부분 장려상을 수상한 아름다운 숲이다. 소나무 숲을 지나면 봉곡사라는 절이 있는데 이 절은 신라 51대 원년 서기 887년 2월에 도선국사가 창건했으며, 산이 봉의 머리 같다 해서 봉수산이라 하고 이 절은 이",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유곡리 산75-2",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180.0", "zone_area": "50.0" }, "297": { "smid": "297", "cltur_exmn": "지방도 629호선변에 위치하여 광덕산\n및 천안공원묘원을 찾는 참배객 및 지역주민의 쉼터로 이용되고 있음", "obj_id": "290",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매당 소나무숲", "matrl_nmpl":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매당리 21-8외 2필",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58.0", "zone_area": "0.072" }, "299": { "smid": "299", "cltur_exmn": "소나무가 아름다운 숲으로 마을의 쉼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송림공원으로 인지도가 높아 시민들의 가족 나들이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인근 천문관 건립으로 숲의 활용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다.", "obj_id": "292", "histr_exmn": "인지면 애정리 마을숲은 송곡사 주변 송림으로 줄기가 붉고 수간이 곧은 소나무로 우거진 아름다운 숲이다. 송곡사는 서산배출의 향현들을 제향하는 향현사로서 서산에서 제일 먼저 건립되었으며, 사우의 건립시기는 1694년(숙종 20), 주향이 유방택이었고 정신보가 병향되,",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송림공원", "matrl_nmpl":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애정리 산123번지", "main_frtp": "단순림", "hstr_mnnmb": "1175.0", "zone_area": "2.0" }, "339": { "smid": "339", "cltur_exmn": "", "obj_id": "201",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버드나무,느티나무", "tra_vllg": "남하리 마을", "matrl_nmpl":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33.0", "zone_area": "0.0" }, "183": { "smid": "183", "cltur_exmn": "3년에 한번 제사를 지냄", "obj_id": "102",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갈참나무", "tra_vllg": "가정 마을숲", "matrl_nmpl": "강원도 춘천시 남면 가정3리 산15",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77.0", "zone_area": "0.1" }, "340": { "smid": "340", "cltur_exmn": "", "obj_id": "205",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버드나무", "tra_vllg": "사곡리 제방(보강천)", "matrl_nmpl":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사곡1리",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37.0", "zone_area": "0.29" }, "341": { "smid": "341", "cltur_exmn": "", "obj_id": "206",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미루나무", "tra_vllg": "증평읍", "matrl_nmpl":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38.0", "zone_area": "0.0" }, "264": { "smid": "264", "cltur_exmn": "", "obj_id": "281",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어물리",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66.0", "zone_area": "0.0" }, "100": { "smid": "100", "cltur_exmn": "", "obj_id": "19",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서호", "matrl_nmpl":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자동 서호공원 제방변",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607.0", "zone_area": "1.9" }, "265": { "smid": "265", "cltur_exmn": "", "obj_id": "282",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남 공주시 유구읍 명곡1리 (동대말숲)",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872.0", "zone_area": "0.05" }, "266": { "smid": "266", "cltur_exmn": "", "obj_id": "283",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밤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동해리", "main_frtp": "혼효림", "hstr_mnnmb": "163.0", "zone_area": "0.189" }, "102": { "smid": "102", "cltur_exmn": "", "obj_id": "21", "histr_exmn": "문헌기록",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노송지대", "matrl_nmpl":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이목동, 송죽동 일대",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606.0", "zone_area": "3.4" }, "344": { "smid": "344", "cltur_exmn": "", "obj_id": "209",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버드나무", "tra_vllg": "월강 마을", "matrl_nmpl":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송정리",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36.0", "zone_area": "0.0" }, "300": { "smid": "300", "cltur_exmn": "2월초하루에 장승제를 지내고 있는데 저녁과 새벽에 두 번 지낸다. 명절에는 윷놀이를 하며 보름때가 되면 경로잔치도 벌인다. 또 매년 정월 초 열나흩날에는 입구 근처 아름드리 느티나무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다.", "obj_id": "293", "histr_exmn": "배방면 중리에 자리 잡은 맹씨행단은 조선초 명재상으로 유명한 고불맹사성 집안의 고택과 정자, 정려가 있는 곳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옛 살림집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설화산과 배방산이 좌우를 나지막하게 감싸고 있어 아늑하고 조용한 옛 정취를 만끽할 수 있다",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면 중리 301임",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179.0", "zone_area": "0.2" }, "301": { "smid": "301", "cltur_exmn": "어린이공원으로 지정되어 도심 내 어린이 놀이공간 및 주민 휴게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마을 어르신들의 쉼터로 이용되고 있다.", "obj_id": "294", "histr_exmn": "읍내동에 있는 마을숲은 수령 300~400년생 느티나무 군락으로 양유정이라 불리는 어린이공원에 자리하고 있다. 양유정이라는 정자와 하천변 버드나무는 서산지역의 빼어난 풍광을 자랑하여 서령팔경 중 제8경 양류쇄연, 유정쇄연으로 불리었으나 현재 버드나무 몇 그루만 남",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양유정", "matrl_nmpl": "충청남도 서산시 읍내동 830-15번지 등 10필", "main_frtp": "단순림", "hstr_mnnmb": "1174.0", "zone_area": "0.3" }, "302": { "smid": "302", "cltur_exmn": "성동산에는 등산로가 개설되어 있고 주변에 운동기구들이 설치되어 마을 주민의 체력단련장으로 이용되고 있음.", "obj_id": "295", "histr_exmn": "성동리 마을의 뒷산으로 언제 조성되는지는 확실히 모르나 소나무 크기로 보면 100여년 정도로 추정됨. 성동산에는 성동사라는 작은 암자가 있고 하단부에는 관음사라는 절이 있음.",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성동산", "matrl_nmpl": "충청남도 당진군 합덕읍 성동리 274-5임외 3필", "main_frtp": "소나무림", "hstr_mnnmb": "1165.0", "zone_area": "6.0" }, "105": { "smid": "105", "cltur_exmn": "", "obj_id": "24",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상수리 등", "tra_vllg": "연당숲", "matrl_nmpl":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송말리 562-1", "main_frtp": "혼효림", "hstr_mnnmb": "609.0", "zone_area": "2.578" }, "303": { "smid": "303", "cltur_exmn": "마을 입구의 개울가에 위치하여 동네\n주민은 물론 인근 마을에서도 쉼터로\n이용하고 있음", "obj_id": "296", "histr_exmn": "경상도 안동의 한 선비가 서울의\n과거 시험길에 잠시 낮잠을 청한후\n다급히 일어나 서울로 올라가 과거\n급제후 행암리 윗산을 몽각산이라\n명한후 잠을 청했던곳에 정자나무\n8본을 심었다함.", "smuserid": "0", "main_koftr": "느티나무", "tra_vllg": "행암 느티숲", "matrl_nmpl": "충청남도 천안시 동면 행암리 280-1",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60.0", "zone_area": "0.04" }, "106": { "smid": "106", "cltur_exmn": "", "obj_id": "25",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느티나무", "tra_vllg": "보산정마을숲", "matrl_nmpl":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보룡1리 327-1",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3.0", "zone_area": "0.5" }, "304": { "smid": "304", "cltur_exmn": "마을입구의 좌.우 산림으로 둘러쌓인\n형태로 풍치목임", "obj_id": "297",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유량 소나무숲", "matrl_nmpl": "충청남도 천안시 유량동 230-12",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61.0", "zone_area": "0.053" }, "107": { "smid": "107", "cltur_exmn": "", "obj_id": "26", "histr_exmn": "", "smuserid": "0", "main_koftr": "상수리, 엄나무", "tra_vllg": "큰골마을숲", "matrl_nmpl":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성덕리 469-2", "main_frtp": "활엽수림", "hstr_mnnmb": "12.0", "zone_area": "0.5" }, "108": { "smid": "108", "cltur_exmn": "", "obj_id": "27", "histr_exmn": "유진우선생묘소",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상산곡 마을숲", "matrl_nmpl":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산88-2 일대",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619.0", "zone_area": "1.1" }, "307": { "smid": "307", "cltur_exmn": "7월 17일에는 홍가신 탄신제를 지내고 있는데, 원래 4대가 넘으면 지내게 되는 시제를 홍가신은 국가에서 불천지위라하여 탄신제를 비롯 한식때 제사와 양명절에는 사당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다. 이밖에 채씨들이 10대째 이어오면서 음력 10월 보름에 시제를 지내고 있고,", "obj_id": "298", "histr_exmn": "대동리 마을숲은 앞에는 태봉산이 있고, 뒤로는 망덕산이 있어 마을을 산이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며, 마을 한가운데는 냇가가 흐르고 있고, 마을 중앙으로 채동교의 효자문과 산 밑으로는 홍가신의 영정을 모신 만전당이 잘 지어져 있다. 마을 주위에는 홍씨와 채씨들의 묘",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대동리 산4-1번지",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182.0", "zone_area": "9.0" }, "308": { "smid": "308", "cltur_exmn": "솔뫼 성지는 김대건 신부의 순교 100주년을 맞은 1946년에 성역화 사업이 시작돼 기념비를 세웠고 생가 터를 매입했으며 성인의 동상과 탑이 건립됐다. 탄생 장소와 생가 터에는 아직도 300여 년의 연륜을 지닌 소나무들이 무성하고 오른편 숲 속에는 김 신부가 태어나기 이", "obj_id": "299", "histr_exmn": "솔뫼는 한국인 최초의 사제 김대건이 태어난 곳이다. '소나무가 우거진 작은 동산'이라는 뜻을 가진 '솔뫼'는, 충남 당진군 우강면에 위치한 작은 마을이다. 이곳은 김대건 신부의 증조부 김진후(1814년 순교), 종조부 김한현(1816년 순교), 부친 김제준(1839년 순교) 그리",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솔뫼성지", "matrl_nmpl": "충청남도 당진군 우강면 송산리 산45-3번지", "main_frtp": "소나무림", "hstr_mnnmb": "1170.0", "zone_area": "1.1" }, "309": { "smid": "309", "cltur_exmn": "해암리 긔해마을은 해암리 가장 큰 마을로 해변에 게와 비슷한 바위가 있다하여 이름 지어진 마을이다. 이곳에는 1960년대까지 긔해 나루터가 있었으며 선장면 홍곶리와 연결되는 교통수단으로 이용되었다. 10월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목신제를 지내고 있다.", "obj_id": "300", "histr_exmn": "아산만이 내려다보이는 해암리 뒷산 위에 있는 400여년 된 두그루의 해송이다. 이 나무에 대해서 임진왜란과 관련하여 전설이 있다. 임진왜란 당시에 마을에 살던 장사 형제가 아산만에 쳐들어온 왜군과 맞서 싸우다 전사하여 마을사람들이 이들의 묘지를 만들어 주었는데", "smuserid": "0", "main_koftr": "소나무", "tra_vllg": "마을숲", "matrl_nmpl":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 산63-1번지", "main_frtp": "침엽수림", "hstr_mnnmb": "1184.0", "zone_area": "11.0" } }, "gri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 " ", " ", " ", " 1 ", " 2 ", " 3 ", " ", " ", " ", " 4 ", " ", " ", " 5", " ", " 6 7 ", " ", " 8 9 ", " : ", " ; ", " < = > ?", " @ A B C ", " D E FG", " H I", " J K L ", " M ", " NO ", " PQR ", " S TU ", " V W XY Z ", " [ ]^ _ `", " a b c" ], "keys": [ "", "128", "126", "127", "125", "183", "124", "123", "122", "120", "121", "117", "118", "108", "107", "106", "105", "102", "100", "99", "351", "315", "98", "314", "313", "312", "320", "310", "309", "311", "344", "308", "307", "304", "303", "301", "302", "341", "340", "300", "339", "299", "317", "297", "296", "294", "295", "293", "266", "292", "265", "248", "264", "209", "291", "290", "230", "231", "288", "287", "289", "286", "327", "285", "284", "201" ] }